반응형

# 티몬 사태에 대해서 간단히 요약,정리해드립니다. #
10여년 전부터 쿠팡,위메프,티몬 등등 여러 플랫폼이 치킨싸움을 하느라
적자를 보면서도 출혈 경쟁을 하던지라 모두가 자본 잠식 상태였습니다.
여기서 쿠팡은 손정의 비전펀드의 지원을 받으면서 생존하고
최근에 들어서는 흑자를 내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서 쿠팡은 그래도 나름 잘 풀렸습니다.
하지만, 위메프,티몬은 지원을 받지 못하고 부채가 점점 쌓여가는 와중에
위메프는 2023년에 티몬은 2022년에 각각 큐텐에게 매각 됩니다.
큐텐에 인수된 티몬,위메프가 다시 살아나나 했지만,
회사의 지원은 커녕 몸집 불리기에 나선 큐텐은 정산금까지 끌어다가
무리하게 wish를 인수 합니다.
여기서 큐텐이 여러 회사들을 무리하게 인수 한 이유는
외형을 부풀려 나스닥에 상장하려는 이유였다고 합니다.
나스닥에 상장하면 그래도 자금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할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나스닥 상장을 위해 규모 확장에만 집중한 탓에 계열사 전체의 유동성 위기를
초래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2024년 6월,7월 위메프,큐텐에서 업체에게 정산금을 돌려줘야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게 되면서 위기설이 수면위로 슬슬 올라오기 시작합니다.
급기야 티몬캐쉬를 싸게 팔기 시작하고, 소위 말해 현금을 급하게
땡기는게 아니냐 하는 의심을 받게 됩니다.
결국 정산금이 미뤄지고 위기설이 돌자 대형업체들 부터 여행업체등이
철수하기 시작합니다. 소규모 업체들도 위기감에 철수를 시작 합니다.
티몬과 위메프 사태에 부정적인 언론 보도도 시작되고
환불,구매가 막히게 되면서 피해자들은 본사까지 찾아가서
환불과 피해보상을 요구하게 됩니다.
현장 환불이 조금씩 되는듯 했지만,
결국 이마저도 10억정도의 금액만 환불처리 되고
기약없는 기다림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액이 수천억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경제 용어 10선 (0) | 2025.02.16 |
---|---|
PER(주가수익비율) 쉽게 설명하기 초보자용 (0) | 2023.04.10 |
알기 쉬운 필수 경제용어 2편 (1) | 2022.10.28 |
알기쉬운 필수 경제용어 1편 (0) | 2022.10.26 |
주식투자 할때 도움되는 사이트 모음 (1)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