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용어3

PER(주가수익비율) 쉽게 설명하기 초보자용 PER 용어 의미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보통 배수로 표현을 하고, 간단히 얘기하면 기업에 대한 기대감이 얼마나 반영이 되었는지를 말합니다. 특정 주식의 현재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EPS는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현재 주가 ㅡㅡㅡㅡㅡㅡㅡㅡ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서 A라는 기업의 주식가격이 66,000원이고 EPS가 12,000원 이라고 하면 A기업의 PER은 5.5 가 됩니다. 배수로 말하니 5.5배가 됩니다. 간단히 풀어 보자면, A기업의 주식 가격은 그 기업이 1주당 벌어들인 순이익에 비해서 5.5배가 부풀려져서 거래가 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A기업의 주식가격은 5.5배.. 2023. 4. 10.
알기 쉬운 필수 경제용어 2편 경상수지 쉽게 말하자면 외국과 사고 팔고 한 총체적인 결과를 종합한 것을 말한다. 국가간에 재화나 용역등을 사고 판 것들을 종합한 것으로 볼수 있다. 국가 간에 정부든 기업이든 모든 대외적인 경상거래에 수입과 지출의 차액을 가르킨다.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자본이나 노동등의 생산요소 이동에 따른 수입과 지급을 나타낸 것으로서 국제수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상수지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더 많은 경우이며, 적자는 그반대의 경우라고 볼수 있다. 레버리지 효과 지렛대 효과라고도 하는데, 기업이나 개인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빌린 돈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가 가지고 있는 적은 자본으로 자기자본이익률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유의해야할 점은 투자에 있어서 차입금의 금리비용보다 높은 수익률이 기대가.. 2022. 10. 28.
알기쉬운 필수 경제용어 1편 일상 생활이나 뉴스를 볼때 나옴직한 경제 용어들을 한번 시리즈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가산 금리 쉽게 말해서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라고 합니다. 기준금리를 기준으로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서 따로 덧붙이는 금리입니다. 예를 들자면 개인고객들도 은행에 가서 대출을 받을때 신용도에 따라서 금리가 높아지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하겠죠. 여기서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얘기합니다. 신용도가 높아서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는 낮아질것이고, 신용도가 낮아서 위험부담이 크면 가산금리는 높아지게 됩니다. 2. 자발적 실업 일부러 일을 안하는 겁니다. 일을 할수 있는 능력이나 의지는 있지만 현재 급여나 복지등 기타 환경에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취업을 원함으로 발생하게 되는 실업입니다. 요즘 삶의 여유나 여가시간 활용.. 2022. 10. 26.
반응형